좋은 다큐 및 유투브

전설, 피터 린치 가장 최근(2020)의 가르침

루비콘 C 2020. 12. 4. 17:41

https://www.fidelity.com/viewpoints/investing-ideas/peter-lynch-investment-strategy

 

 

 

 

피터린치는 전설로 남은 마젤란 펀드를 통해서 월가의 영웅으로 등극했다.

그는 젊은 나이의 33세에 피델리티 사의 마젤란 펀드 매니저를 맡아서,
[13년간]
[연평균 수익률 29.3%]을 이룩했다.
13년간 불장, 폭락장 다 있었는데도, 연평균 수익률 29.3%은 어마어마한 기록이다.
무려 당시 S&P500 수익률의 2배를 이룩했다.

이러한 전설, 피터 린치가 2020년에 조금은 나이든 모습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뛰어난 투자자가 되려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무엇보다 Stomach (용기, 배짱의 의미)이 중요하다. 결코 두뇌가 아니다.

당신이 티비에서 라디오에서 듣는 온갖 나쁜 소식의 양이 무한이다. 이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당신은 그걸 견딜 수 있는가?

즉, 10년, 20년, 30년 뒤에도 주식이야말로 가장 뛰어난 투자 수단이라고 믿는가라는 것이다. 그렇게 믿는 다면 주식에 투자할 만하다.

다른말로, 고통에 대한 내성이 중요하다. 급락이 올 수 있다. 내일 올 수도 있다. 내년일 수도 있다. 언제 일어날지 누가 아는가?
당신은 이 정도의 Stomach(용기, 배짱)이 있는가?

대부분 뛰어난 투자자들이 뛰어난 이유는 잘 버티기 때문이다.

 

 

—-
<2020년까지 무려 10년간 강세장이 지속되었다. 이제 현금화를 해야할 시기는 아닌지?>

- 사람들이 조정을 기다리거나, 조정이 올것을 대비해 현금화를 하느라 잃은 돈이, 실제 조정이 왔을때 잃은 돈보다 크다.
그러니까, 시장 예측은 비생산적이다.

——
<시장이 하락하면 당신의 기분은 어떤가?>

내가 13년간 마젤란 펀드를 운용하며, 10%이상 하락한 적이 9번은 더 있었다. 그렇게 많았기에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10년, 30년, 100년 뒤의 주식시장은 반드시 상승해있다. 하지만, 당신이 만약 1, 2년 뒤에 필요한 돈을 주식에 투자하고자 한다면, 잘못된 선택이다. 

<시장이 바닥을 찍는다면, 투자자들이 무엇을 해야하는가>

-거울을 보고 생각해보라. 10%하락하면 손절매 할 것인가? 20%하락해도 손절매 할 것인가? 만약 예라고 답한다면, 지금 즉시 주식을 팔아라. (그정도 배짱이 없다면)

 

——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내가 10살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11살때부터 골프 캐디 일을 시작했다. 이때는 강세장이었고, 골프 치러온 사람 모두가 주식얘기로 떠들석했다.

(후략)

 

 

———
<개인 투자자가 자주 저지르는 오류는?>

-개개인은 냉장고나 자동차를 살때는 스펙 하나하나 유심히 분석하고 타 모델과 비교하면서,
버스 뒷자리 사람들이 나누는 대화에서 들은 종목명에 $5000, $10,000달러 이상 투자한다. 이것은 도박이고 투자가 아니다. 연구도 없이 운에 맡긴거다.

 

 

 

 

 

——-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좋은 방법은?>

-일단 종이에 적어보아라.
$10,000 이나 $100,000달러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짜봐라. 실제 돈이 아니잖아. 크게 한 번 적어봐라.

투자할 5가지 회사를 골라라.
그리고 왜 투자하는지 적어봐라.
“오를꺼니깐” 이건 좋은 대답이 아니다. 왜 이 회사를 내가 택했는가?

그리고나서 적정 기간동안 5개 회사를 점검하며 당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살펴봐라.

가치주에 자신이 있나? 순환주? 소형주?

만약 주식이 올랐다면, 그것만으로 불충분하다. 왜 올랐는가? 스토리에 변화가 생겼는가? 펀더멘털(재무제표)에 좋은 변화가 생겼는가?

 

 

 

——
<평범한 사람도 주식 투자를 잘할 수 있나요?>

-당신이 특정 회사에 대해 남보다 잘 아는가? 당신만의 강점이 있는가?

당신이 심장 전문 의사라고 한다면, 실제 수술실에서 쓰이는 기계등을 일반인보다 빨리 알아차릴 수 있지 않는가? 이것이 바로 강점이다. 일반인이 모르는 당신만의 전문성을 이용하라.

 

 

——-
<당신이 주식을 고를 때 무엇을 찾나요?>

-야구로 비유하자면, 2회나 3회말에 진입하여, 7,8회에 빠져나오는게 이상적이다.

월마트가 10년차 기업이 되었을때조차 아직 미국의 15%정도 지역에 진출해 있었다. 미국 전역에 퍼지는데 그 이후 30년동안 무려 50배나 올랐다.

 

 

 

 

——
<주식을 팔아야 할 때는 언제인가요?>

-당신이 그 주식을 산 이유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 회사가 현금보유량이 많아서, 적어도 파산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나같은 경우에는, 성장하는 회사가 더 이상 성장할 자리가 남아있지 않을 때 주식을 매도한다. 타코벨은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됐다. 그리고 중앙 캘리포니아로 진출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전국, 그리고 세계로 나갔다.

즉, 회사가 성숙해지는지 연구를 통해 알아낸 다음에 Exit해야 한다.
회사의 성장 스토리가 유지된다면, 주식을 붙잡고 있어라.

 

 

 

———-
<실물 경제가 주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만약 당신이 경제학 공부를 하는데 13분을 소요했다면, 그 중 10분을 낭비했다. 솔직히 주식에 있어서 그다지 도움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지금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이다.

 

 

 

———
<당신도 실패한 적이 있는가?>

-너무나도 많이 실패했다. 한때는 뛰어난 드레스를 만드는 업체를 매수했다. 그들은 보그지 표지에도 3번 나갔을 뿐더러, 무엇보다도 빚이 0이었다. 빚이 0이면 상장을 줘도 된다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이때, Bonnie and Clyde라는 영화가 유행하면서, 그 회사가 만드는 드레스는 촌스러워 보이기 시작한다. 즉 그들의 수많은 재고들이 쓸모없어 졌고, 다음 시즌 아이템 또한 준비가 어려워졌다. 2년 뒤 회사는 없어졌다.

당신이 고른 10개 기업 중에서 5번만 성공했다고 치자. 이 성공한 기업들이 3배, 10배 까지 오른다면, 당신이 실패한 종목들의 손실을 합하더라도 이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