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

SPY 배당금은 얼마일까? 4분기 배당 기준일 알아보기! 2021

SPY 배당금은 얼마일까? 4분기 배당 기준일 알아보기! 2021 여러분이 처음 미국 주식을 시작할 때 가장 많이 추천 받는게 ETF이죠? 그 중에서도 SPY가 ETF중에서 대장주로 불리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미국을 대표하는 S&P500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ETF이라서 그래요! 한 마디로, 미국 경제가 성장할 것을 믿는다면 SPY에 투자하시는게 제격인 거에요. 회사가 돈을 벌면, 그 중 일부를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것을 '배당금'이라고 해요. 한국에서는 아직은 주주에 환원한다는 문화가 자리 잡지 않아서 1년에 한 번만 지급하는 케이스 많은데요, 미국에서는 1년에 4회 지급하는 것이 공식처럼 되어 있어요(디즈니처럼 2회만 지급하는 예외도 있어요). 제가 아까 S&P500을 추종하는 ETF라고 했지요? ..

키움증권/ 0.07% 최저 수수료로 미국 주식 사는 법!

키움증권/ 0.07% 최저 수수료로 미국 주식 사는 법! 미국 주식을 시작할 때는 앱의 최적화 정도, 그리고 수수료에 따라서 결정하게 되는데요. 원래는 0.1%의 수수료지만, 0.07%의 매우 낮은 수수료로 매매가 가능한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커피로 치면, 알바생만 아는 숨은 메뉴같은 건데요. 직접 키움증원으로 전화를 하셔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좌가 이미 있다는 가정이에요) 키움증권 대표번호인 1544-9000로 전화하시고요 2번 -> 0번 -> 7번 을 누른 다음에, 본인의 증권계좌번호 끝에 # 비밀번호 #를 누르신 다음, 상담원 분이 연결되시면, "해외주식 협의 수수료로 부탁드려요"라고 말씀하시면 되요! 기존 수수료인 0.1%에서 0.07%까지 인하되는 것이라 꼭 하시는걸 추쳔드려요! 저 ..

2021 미국증시 휴장일 총정리/ 미리 확인해보아요!

2021 미국증시 휴장일 총정리/ 미리 확인해보아요! 안녕하세요! 루비콘C에요!가끔씩 폰에 있는 야후 파이낸스를 통해서 시장을 보는데, 지수들이 가만히 있어서 왜 그런가 찾아봤더니,Memorial Day 메모리얼 데이 (남북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추모한 기념일)이더라구요.코로나로 힘들었던 2020년은 지나가고, 곧 2021년이 올텐데요, 그런 의미에서 2021 미국 휴일 (미국 증시 휴장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2021년에는 총 11일간의 휴장이 있네요! 1월 1일 = 신년1월 18일 = 마틴 루터킹 데이 2월 15일 = 대통령의 날 5월 31일 = 메모리얼 데이 7월 5일 = 미국의 독립 기념일 대체휴일 9월 6일 = 노동자의 날 10월 11일 = 콜럼버스 데이 11월 25일 = 추수감사절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책 요약 [5분으로 책 한 권 읽기]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책 요약 [5분으로 책 한 권 읽기] 부화뇌동파 vs 소신파 부화뇌동파: 주식으로 노름하는 자 소신파: 말 그대로 투자자. 장기적 승자. 4가지 요소가 있다(돈, 생각, 인내, 행운) —— 돈: 사람이 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 온전히 자기 돈을 갖고 있고, 부채가 없을 때. 나(코스탈라니)의 철학: 절대 빚내서 주식 투자하지 말 것! 생각: 누구나 상상력을 바탕으로 생각하고나서 주식을 사야 한다. 충분히 생각한 끝에 전략을 세웠다면, 친구, 여론, 등에 흔들려서는 안된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미국이 섬유 원유를 이탈리아에 제공하자, 이탈리아 섬유 산업이 부활. 이후, 거대 미국 차회사가 이탈리아 차 회사와 계약을 맺는 소식이 들렸다. ..

스타벅스 배당금은 얼마일까? 4분기 배당 기준일 알아보기! 2021

스타벅스 배당금은 얼마일까? 4분기 배당 기준일 알아보기! 여러분들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기프트콘 주거나 받아본 적 있으시죠? 이렇게 일상생활과 밀접한 회사는 세상에 별로 없는데요, 오늘은 한국민이 사랑하는 커피 회사, 스타벅스의 배당금과 기준일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회사가 돈을 벌면, 그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을 '배당금' 이라고 하는데요. 한국 회사들은 배당금을 1년에 한 번만 지급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 회사들은 통크게 1년에 4번 지금하는게 관례라고 하네요. 그러니깐, 정해진 날짜까지만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금을 지급합니다. 주식을 단 하루만 가지고 있든, 10년 내내 가지고 있던, 배당락일까지만 주식을 가지고 있다면 배당금을 지급해준다는 것 입니다. 그..

백종원의 장사 이야기 요약본 [5분으로 책 한권]

백종원의 장사 이야기 [5분으로 책 한권] 동업하지 마라 그나마 나은 방안: 운영 주체가 50~60%, 나머지는 서너명이 투자하는 것 ( 운영 주체가 인수 할 수 있을 정도로) 식당 대박 나면 소비자 생각 보다 딱 반 발만 앞서가라 (지나친 혁신은 금물: 튀김 주먹밥 보다는 전통적인 튀김집으로 출발하라) 생각 많이 할 때의 단점: 자신의 생각에 변명하기 - 권리금 1억 투자할 바에는 한 블록 뒤로가면 절약되니까 손님한테 서비스 줘야지./ 내 음식은 맛이 좋으니 나 같으면 사 먹을꺼야 무조건 좋은 상권으로 가라(초보자일수록) (평수를 줄이더라도 좋은 상권으로) • 넓은 평수의 2층보다는 작은 평수의 1층이 낫다 주방보다는 홀이 중요하다. 사장은 음식을 만들 줄은 알아야 하지만 위치는 홀이어야 한다. 홀에서..

Aggregation Theory (집적 이론) - 초거대 기업의 독점현상

GAFA, MAGA라고 불리는 거대 테크 기업의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하지만, 언제부터 이런 초거대기업이 인터넷 세상을 독과점하게 된걸까? 이에 답하기 위해 집적 이론(Aggregation Theory)가 활용된다는 것을 The Verge에서 보여주었다. 우버의 예를 보자. 우버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전화로 상담원과 연결해야 차량을 배정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의 시스템을 이용해야 콜을 부를 수 있었다. 하지만, 우버같은 경우에는 단순한 중간 다리라고 볼 수는 없다. 우버는 생산자가 아니라 소비자를 통제한다. 소비자들은 서비스에 만족했다면, 해당 플랫폼을 더욱 더 자주 이용할 것이고, 덕분에 중매자 우버는 해당 수요를 이용하려는 생산자(운전자)들도 쉽게 모집할 수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영어공부] 영화 빅쇼트 대본

영화 빅쇼트 대본입니다. 대본을 다운 받으시려면 위 링크를 클릭하세요. the-big-short.pdf drive.google.com https://drive.google.com/file/d/19oCvjs1AiHQ_QTc042I76vOtPqPgRpqX/view?usp=drivesdk 2008 금융위기의 배경에 대해 잘 다뤄진 영화입니다. 대본과 함께 보면서 영어 공부도 해보세요. Jared gestures to his CHINESE QUANT, sitting JARED Jiang is my quant. Look at him, he doesn't even speak English. He won a national math competition in China. China. Yeah I’m sure of t..

Information 2020.12.05

테슬라에 대한 오해/ 머스크의 직원 이메일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대해 생각할 때, 숫자를 많이 본다. 매출이나, 사용자 수, 등 외형적 숫자를 본다. 그러나 우선순위라는 것이 있다. 기업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99번째로 중요한 숫자를 , 가장 중요한 요소로 착각한다면, 회사를 잘못 판단하는 것이다. 인간은 감정적인 동물이기에, 핵심을 찾느라 시간을 소요하는 것보다, 눈에 바로 보이는 찾기 쉬운 사실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오박사가 말하듯, 회사의 금메달적 요소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오박사 참고 글: m.blog.naver.com/ojh919/221363083263 테슬라 같은 경우에는, 2012년에 이를 자동차회사로 보았다. 단순한 자동차 회사로 2012년의 테슬라를 평가한다면, 사장은 트위터나 해대는 과대망상가이자, 적자 투성이 스타트업 기업..

전설, 피터 린치 가장 최근(2020)의 가르침

https://www.fidelity.com/viewpoints/investing-ideas/peter-lynch-investment-strategy 피터린치는 전설로 남은 마젤란 펀드를 통해서 월가의 영웅으로 등극했다.그는 젊은 나이의 33세에 피델리티 사의 마젤란 펀드 매니저를 맡아서, [13년간] [연평균 수익률 29.3%]을 이룩했다. 13년간 불장, 폭락장 다 있었는데도, 연평균 수익률 29.3%은 어마어마한 기록이다. 무려 당시 S&P500 수익률의 2배를 이룩했다.이러한 전설, 피터 린치가 2020년에 조금은 나이든 모습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무엇보다 Stomach (용기, 배짱의 의미)이 중요하다. 결코 두뇌가 아니다.당신이 티비에서 라디오에서 듣는 온갖 나쁜 소식의 양이 무한이다. 이때..